한미경제협의회 서브페이지 메인 사진

경제·통상 정보

U.S. Economy & Trade Info

경제·통상 정보

한·미 유관기관

경제 및 통상 정보를 게시하기 위한 게시판입니다.

글번호 2701
제목 TradeVistas紙: 패션 의류 산업 무역과 미래
등록일 20/09/23
조회수 75
파일 #1 워싱턴통상정보616호 TradeVistas紙 패션 의류 산업 무역과 미래.pdf

TradeVistas紙: 패션 의류 산업 무역과 미래

 

□ 금년 9월, 환절기에 돌입했음에도 다른 해와는 달리, 패션 산업은 관세, 소비자 수요 변화, 코로나19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

 

o 2020년 초기부터 패션 업계는 이미 디지털화 대응과 산업의 지속 가능성 등 외부 변화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음

 

o COVID-19는 소비자 수요를 감소시키고 공급망을 교란시키면서 상황을 더 악화시켰으며, 미·중 무역전쟁 등 국가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무역장벽 부담이 가중

 

I. 세계 의류 무역 동향

 

□ 패션은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기 떄문에 관세, 무역분쟁, 물류장애 모두가 상품과 가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

 

o 세계 의류 시장은 1조 달러가 넘는 가치를 지니며, 미국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의류 및 신발 수입국*
  

* 2018년에 약 850억 달러어치의 의류, 액세서리, 신발류 수입
 

- 니트 의류가 단일 의류로는 최대 상품으로, 미국은 전체 니트 의류 수입의 18.95%를 구매하여 2위 수입국인 독일의 두 배 규모임

 

- 스페인, 영국, 프랑스와 같은 유럽 국가들과 일본, 홍콩과 같은 패션에 민감한 아시아 강국들이 그 뒤를 잇고 있음

 

□ 의류 수출의 경우 중국이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고, 2018년 중국의 니트 의류 수출은 세계 전체 수출의 약 31%를 차지

 

o 방글라데시와 베트남이 2, 3위를 차지하였지만 시장 점유율은 각각 7.5%와 5.7%에 불과

 

o 장기적으로 중국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음(참고1 참조)

 

- 중국은 2012년 전체 니트 의류 수출의 41%를 장악했으나 지난 6년 동안 시장 점유율이 10%p 하락

 

o 반면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방글라데시, 베트남, 캄보디아의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으며, 이러한 추세는 미·중 무역전쟁의 격화로 가속화중

 

 

- 기업들이 중국산(Made in China) 라벨에 따른 관세를 피하기 위해 생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중국 이외의 주변 아시아 국가로 이전중

 

II. 국제정책의 변화에 따른 산업 동향

 

□ 코로나19 이전에도 글로벌 관계와 트렌드가 모두 변화하고 있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가치사슬이 마비되는 등 새로운 과제가 대두되고 있음

 

o 전자상거래는 계속 가속화되고 기업이 환경 친화적인 브랜드 구축과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음
 

- 2020년의 세계적인 유행병, 사회운동, 국제관계로 인해 패션산업은 혁신이 그 어느 때보다 필수적임

 

1. 무역 분쟁 및 장벽

 

□ 패션 의류 산업은 오랫동안 관세로 어려움을 겪음

 

o 2018년 의류 제품의 세계 평균 수입 관세율은 다른 공산품들의 두 배 수준인 17%를 기록
 

- 미국의 경우 의류와 신발에 각각 최고 32%, 65%의 관세가 부과되며, 실제로 미국 가정의 총 관세 부담액의 약 75%는 의류 제품에서 나옴


□ 중국의 섬유·의류 수출 규모는 상당한 반면 미·중 무역전쟁으로 중국산 의류 도 관세의 영향을 크게 받음

 

o 미국은 니트 및 기타의류, 섬유(비단, 면 등), 직물(레이스, 자수 등), 그리고 기타 다수의 투입제품(고무화 직물 등)에 대해 7~25%의 관세를 부과

 

o 중국은 미국산 의류 등 미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며 보복
 

- 관세와 여러 위험요인으로 인해 중국의 생산기지 매력이 낮아지고 있음
 

- 제조업체들은 값싸지만 숙련된 노동력이 적절히 균형 잡힌 국가(베트남, 방글라데시, 터키 등)로 공장을 이전할 가능성이 높음

 

2. COVID-19 : 수요 감소와 불안정한 공급망

 

□ COVID-19는 공급망 붕괴와 소비 위축을 초래했으며, 세계 패션산업, 특히 의류와 신발의 디자이너, 제조업체, 소매업체에 큰 타격을 입힘

 

o 봉쇄령으로 소매 판매에 의존하는 소매업체들은 즉각 영향을 받음
 

- 2020년 첫 6개월간 미국 상점 내 의류·액세서리 판매가 전년비 약 40% 감소

 

- 백화점 Nordstrom의 매출은 53% 감소했고, Brooks Brothers, JC Penney, Neiman Marcus 등 많은 소매업체가 파산을 신청
 

- 자택대피중인 소비자는 이전과 같은 종류의 옷이 필요 없어 의류 수요도 감소

 

□ 탄력적이고 민첩한 공급망은 변화하는 트렌드에 빠르게 반응하고 세계의 기술과 자원을 끌어내기 때문에 패션업계에도 필수적임

 

o 코로나19로 패션제품의 생산과 운송이 불안해 지면서 탄력성이 약화됨
 

- 편안한 옷과 운동복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에 빠르게 적응한 일부 온라인 매장만이 이번 위기를 잘 이겨내고 있음

 

III. 국가별 패션 의류 산업 의존도

 

□ 세계적으로 무역의 영향을 받는 패션 산업 종사자*들이 상당히 많음
  

* 의류·신발 제조업체 고용인력, 섬유의 재료 생산자, 원재료 생산 농가, 그리고 혁신적인 “오렌지 경제”의 일부인 여러 디자이너, 크리에이터, 마케터 등이 이에 해당

 

o 많은 나라들이 의류 생산에 연결되어 있지만, 특히 남아시아·동남아시아 국가에게 의류 생산은 전체 국가소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중요 산업임
 

- 스리랑카와 캄보디아는 수출 소득의 각각 44%, 58%가 의류에서 나옴
 

- 베트남에서 의류는 연간 360억 달러 이상(GDP의 16%를 창출)을 벌어들이는 3위 수출 산업이며, 방글라데시는 수출 소득의 83%가 의류 산업에서 발생

 

o 의류산업과 무역은 국가의 경제발전의 큰 원동력으로 국민들에게 농업 이외의 방법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
 

- 이러한 일자리의 약 80%는 여성이 차지하며, 이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하고 취약한 일부 인구에게 고용뿐만 아니라 자율성과 교육을 제공함

 

o 반면 의류산업 전문화(specialization)로 큰 수익을 창출하였으나 단일 산업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문제점으로 지적
 

- 코로나19로 세계 질서가 붕괴되면서 다수의 방글라데시 일자리가 위태롭게 되었고, 심지어 기아(starvation)까지 염려되는 실정

 

IV. 패션 의류 산업 무역의 미래 트렌드

 

□ 패션은 계속해서 세계적인 산업일 것이고 무역은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것

 

o 이러한 불확실한 시기에, 어떤 가을 패션이 유행할지 아직은 불분명함
 

-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고 사회적으로 윤리적인(ethical) 패션이 계속해서 주목받을 수 있음. 이 경우, 탄소 사용이 적거나 공정한 관행과 거래를 통해 만들어진 의류를 선호하게 될 것
 

- COVID-19가 종식되어 여행과 사교행사가 잦아지게 되면 의류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욕이 증가할 수 있음. 이 경우, 크고 다양하며 민첩한 공급망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급업체가 혜택을 볼 것임